합천해인사(海印寺)대한불교 조계종제12교구 본사이다.
신라 제40대 애장왕(哀莊王) 때의 순응(順應)과 이정(利貞)이당나라에서 돌아와 우두산(牛頭山:가야산)에 초당(草堂)을
지은 데서 비롯된다. 그들이 선정(禪定)에 들었을 때 마침 애장왕비가 등창이 났는데 그 병을 낫게 해주자,
이에 감동한 왕은 가야산에 와서 원당(願堂)을 짓고 정사(政事)를 돌보며 해인사의 창건에 착수하게 하였다.
순응이 절을 짓기 시작하고 이정이 이었으며, 그 뒤를 결언대덕(決言大德)이 이어받아 주지가 되었다.
918년 고려를 건국한 태조는 당시의 주지 희랑(希郞)이 후백제의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이 절을 고려의 국찰(國刹)로 삼아 해동(海東) 제일의 도량(道場)이 되게 하였다.1398년(태조 7)에
강화도 선원사(禪源寺)에 있던 고려팔만대장경판(高麗八萬大藏經板)을 지천사(支天寺)로 옮겼다가
이듬해 이 곳으로 옮겨와 호국신앙의 요람이 되었다. 그 후 세조가 장경각(藏經閣)을 확장·개수하였으며,
그의 유지를 받든 왕대비들의 원력(願力)으로 금당벽우(金堂壁宇)를 이룩하게 되었다.
제9대 성종(成宗) 때 가람을 대대적으로 증축했고, 근세에 이르러서는 불교 항일운동의 근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이 사찰은 창건 이후 일곱 차례의 대화재를 만나 그때마다 중창되었는데,
현재의 건물들은 대개 조선 말엽에 중건한 것들로 50여 동에 이른다.
창건 당시의 유물로는 대적광전(大寂光殿) 앞뜰의 3층석탑과 석등 정도가 있을 뿐이다.
특히 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과 제52호인 대장경판고(大藏經板庫) 및
석조(石造) 여래입상(보물 264)은 유명한데, 불가사의한 일은 몇 차례의 화재를 당하면서도
팔만대장경팥과 장경각만은 화를 입지 않고 옛 모습 그대로 있는 일이다. 그
밖에 주요 문화재로 보물 제518호인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보물
제128호인 반야산 원경왕사비(般若寺元景王師碑)도 있다.
1)어디서☞경남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2)산행코스☞청량동주차장(am:09:45분)→청량동탐방지원센터(am:10:00분)→청량사매표소(am:10:02분)→
청량사(am:10:06분)→안부삼거리→전망대(am:10:41분)→입석(am:11:01분)→암봉→철사다리(am:11:38분)→
남산제일봉(1010M)(am:11:43분)→돼지골→해인사관광호텔주차장(pm:13:06분)
☞.해인사 역사탐방→(pm:13:54분)∼(pm:14:19분)
3)산행시간(6.0km 3시간2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