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여행 5

[문경여행]월악산 국립공원 31년만에 개방 황장산

[문경여행]월악산 국립공원 31년만에 개방 황장산 [황장산]월악산 국립공원 31년만에 개방 기암절경 黃腸山.월악산국립공원의 동남단을 이루는 훌륭한 산행대상지이면서도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산이 경북 문경시 동로면에 있는 황장산 백두대간.깊은골짜기의 원시림과 빼어난 암벽으로 인 하여 전국에서 많은 산악인이 찾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황장목이 유명하여 봉산 되었고,생달리 안산다리를 기점으로 차갓재에서부터 정상까지 이어진 백두대간 능선의 가파르지도 않고 아기자기한 암릉미를 즐기며 동서남북에 솟아 있는 산들을 감상할 수 있다.백두대간 능선을 빼고 나무에 가려 전망이 신통치 않다.그러나 황장산 수리봉능선는 비법정탑방로 낙타바위.촛대바위.수리봉릿지1)산행장소:경북 문경시 동로면 생달리● 안생달→산태골→황장산하단 →황장..

山 2017년 산행 2017.09.12

[문경여행]부처님 오신날 봉암사 백운대 희양산

[문경여행]부처님 오신날 희양산 봉암사-백운대(1년에1번개방)┗鳳巖寺 대한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로 879년(신라헌강왕5) 지증(智證:智詵) 국사(國師) 도헌(道憲) 창건하였으며 헌강왕이 봉암사라는 사찰명을 하사했다. 이후 봉암사는 퇴락하였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정진국사(靜眞國師) 긍양(兢讓)이 사찰을 중수    하였고 구산선문 중 하나인 희양산파(曦陽山派)의 본거지가 되었다.조선시대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1674년(현종 17) 신화(信和)가 중건하였다. 1915년 세욱    (世煜)이 법당을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보물 제169호인 삼층석탑·보물 제137호인 지증대사 적조탑(寂照塔) ·보물 제138호인 지증대사 적조탑비     보물 제171호..

山 2012년 산행 2012.05.28

[문경여행]부처님 오신날 지름티재 희양산 봉암사

[문경여행]부처님 오신날 지름티재 희양산 봉암사희양산(98m)백두대간 부처님 오신날 특선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과 괴산군의 경계에 있는 산.산 전체가 하나의 바위처럼 보이는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멀리서도 쉽게 알 아볼 수 있으며 문경새재에서 속리산 쪽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의 줄기에 있다.산세가 험해 한말에는 의병의 본거지이도 했다.암릉이루어진 난코스이기 때문에 일반인 겨울에 등산하기엔 위험한 반면 전문 클라이머들은 즐겨 찾는다.남쪽 자락에는 음력 초파일을 전후한 약 한 가량을 제외하고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조계종 특별수도 도량인 봉암사가 있다.사찰은 신라시대 구산선문 중의 하나이기도 하며 경내 봉암사사지증대사 적조탑과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봉암사 정진대사 원오탑비,봉암..

山 2012년 산행 2012.05.28

[문경여행]하늘기둥 그곳 문경 천주산 공덕산

[문경여행]하늘기둥 그곳 문경 천주산 공덕산문경>하늘기둥이라는 그 이름처럼 경천 호반가에 우뚝 솟아 기둥처럼 보이는 산으로 또 멀리서 보면 큰붕어가 입을 벌리고 하늘을 쳐다보고 있는 듯 이라.해서 붕어산이라고도 불린다.그 높이가 836m지만 사방으로 벼랑을 이룬 곳이 많아 산을 오르는 이들의 오금을 저리게 만드니 그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산으로 보인다.정상에는 큰봉과 작은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불감시초소와 정상 표지석이 있다.큰봉 정상에 서면 운달산, 대미산,문수봉,황장산이 한눈 보여 백두대간의 웅장함을 실감할 수 있다.공덕산(功德山·912.9m)은 산 기슭에 자리한 천강석조사불상(天降石造四佛像·일명 사불암)과 관련지어 四佛山으로 부르며 대승사 일주문 현판에로 쓰여 있다.공덕산(913m)대승사 사불암 ..

山 2012년 산행 201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