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여행]탑마을 삼층석탑 염불사지 칠불암 마애불상 신선암
경주 남산리 남산동 삼층석탑 1963년1월 21일 보물 제124호로 지정되었다.동탑의 높이는
7.04m, 서탑의 높이는 5.55m이다. 형식이 다른 쌍탑이 동서로 대립해 있어 불국사의 동서 쌍탑을 연상케 한다.
동탑은 일종의 벽돌석탑[塼石塔]을 모방한 것으로,커다란 2중 지대석(地臺石)위에 8개의 돌덩이로
직육면체의 단층 기단(基壇)을 만들고, 그 위에 3단의 네모난 굄을 마련하여 3층의 탑신부를 받치도록 하였다.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들이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조각이 없다.옥신과 옥개석은
올라갈수록 작아지고,옥개석의 받침은 초층부터 5단, 5단, 4단으로 되어 있다. 서탑은 .일반형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운 3층탑이다.하대석(下臺石)과 하층 기단 면석(面石)을 1장의 돌로 만들어 모두 4장으로 구성하고,
.3층기단 면석에는 각면 2주의 탱주(撑柱)를 표시하여 구분하고,
그 안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1구씩 양각하여 특이한 수법을 보여준다.
<2012년2월25일(토욜) 여의행님과 함께 동행>
<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경주 남산리 탑마을 삼층석탑>
┗염불사(念佛師)신라 때의 승려.경주 남산 피리사에 거처하였는데 염불소리가 성내에까지 들려 사람들의 공경을 받았으며,그가 죽자 사람들이 그의 소상을 만들어서
민장사에 모셨다. 삼국사기<三國遺事)><염불사>조에 나오는 인물이다.그가 산 시대와 이름은 알려지지 않는다.남산(南山) 동쪽 산기슭의 피리사(避里寺)에 거처하며
늘 아미타불을 염하였는데, 그 소리가 성내에까지 들렸다. 그 소리는 높고 낮음이 없이 항상 낭랑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이상히 여겨 그를 염불사라 부르며 공경하였다.
그가 죽자 사람들은 그의 소상(塑像)을 만들어서 민장사(敏藏寺) 경내에 모시고, 그가 머물던 피리사는 염불사(念佛寺)라고 이름을 고쳐 불렀다.
┗염불사지(念佛師址)┗염불사지(念佛師址) 삼층석탑┗염불사지(念佛師址) 삼층석탑┗염불사지(念佛師址) 옛 흔적┗염불사지(念佛師址) 옛 흔적┗칠불암 이정표┗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 오산골┗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 오산골 강추┗경주 남산 칠불(七佛磨)┗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 이정표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가파른 산비탈을 깎고 높이 4m 가량의 축대를 쌓아 만든 불단 위에 모셔져 있는 불상군이다. 병풍바위에 새긴 삼존불과 사각 돌기둥에 새긴 사면석불상(四面石佛像)으로, 모두 칠불(七佛)이 모셔져 있다.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삼존불은 미소를 머금고 있는 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였다. 본존인 여래상은 풍만하고 당당한 자세로 화려한 연화대좌 위에 앉아 만면에 미소를 띄고 있다.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큼직한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 왼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법의의 주름이 깊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늘어뜨리고 왼손은 배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양쪽 협시보살은 입상이며,본존불과 같은 형태로 법의를 두르고 오른쪽 협시보살은 오른손에 보병(寶甁)을 들었고, 왼쪽 협시보살은 왼손에 연꽃을 어깨까지 들어올리고 있다. 여래상 높이 2.7m, 양쪽 협시보살 높이 2.11m 삼존불상을 새긴 바위 앞에 있는 사각 돌기둥에는 각 면에 사방불을 새겼는데 각각의 불상은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각각의 높이는 동면상(東面像) 1.18m, 서면상 1.13m, 남면상 1m,북면상 72㎝이다.불상군이 반듯한 축대 위에 자리잡고 있을 뿐 아니라 곳곳에 기왓조각들이 산재해 있어서 원래 이 자리에 법당의 성격을 가진 건물이있었음 조각기법 및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경주시 동천동의 굴불사지 석불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磨崖佛像群)
┗경주 남산 칠불암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이정표
<경주 남산>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천의(天衣)는 얇아 육체의 굴곡이 살아 있으며,
옷자락은 유려하게 흘러 대좌(臺座)를 덮고 옷주름은 고식(古式)이 아니며 자연스럽게 늘어졌다.
발 아래는 화려한 구름이 동적이어서 구름에 떠가는 자유자재한 보살을 묘사하고 있다.
광배(光背)는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나루배와 같은 형태로 온몸을 둘러싼 광배)에
3가닥 선으로 두광(頭光)·신광(身光)을 표현하였을 뿐이며,
광배 자체가 감실(龕室)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에서 아래로 본 칠불암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여행]태화강 십리대밭 아름다운꽃 동산 (0) | 2012.04.12 |
---|---|
[울산여행]생명의 그릇 옹기 고산리 외고산 옹기축제 (0) | 2012.03.24 |
[울산여행]동해 관성 바닷가에서 방생 (0) | 2012.02.12 |
[울산여행]아름다운태화강 태화강 십리대밭교 (0) | 2012.01.24 |
[경주여행]1박2일 가족여행 현대호텔 안압지 석굴암 도솔마을 (0) | 201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