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2013년 산행

[경주여행]탑마을 삼층석탑 칠불암 마애불상 신선암 마애보살

미래(mire) 2013. 11. 17. 23:26

 

[경주여행]탑마을 삼층석탑 칠불암 마애불상 신선암 마애보살

.국보제312호[칠불암]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群)삼존불은 미소를 머금고 있는

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였다. 본존인 여래상은 풍만하고 당당한 자세로 화려한

연화대좌 위에 앉아 만면에 미소를 띄고 있다. 머리는 소발()이며, 큼직한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

왼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법의의 주름이 깊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늘어뜨리고 왼손은 배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양쪽 협시보살은 입상이며,본존불과 같은 형태로 법의를 두르고 오른쪽 협시보살은

오른손에 보병()을 들었고, 왼쪽 협시보살은 왼손에 연꽃을 어깨까지 들어올리고 있다.

여래상 높이 2.7m, 양쪽 협시보살 높이 2.11m 삼존불상을새긴 바위 앞에 있는 사각 돌기둥에는 각 면에 사방불을

새겼는데 각각의 불상은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각각의 높이는 동면상() 1.18m, 서면상 1.13m, 남면상 1m,북면상 72㎝이다.

불상군이 반듯한 축대 위에 자리잡고 있을 뿐 아니라 곳곳에 기왓조각들이 산재해 있어서

원래 이 자리에 법당의 성격을 가진 건물이있었음 조각기법 및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경주시 동천동의 굴불사지 석불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 
천년의 역사 경주남산국립공원 역사와 문화 그리고 자연이 함께 숨쉬는 노천박물관 

2013년11월17일(금) 여의행님과 함께 그곳 역사탐방  하다.경주남산국립공원은 신라시대의 불교유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불교가 신라에 전파되면서 숭산신앙,암석신앙과 연관된 불교문화는 경주 남산에 집중,표현되었기 때문이다.

고위산(491m)과 금오산(468m) 2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다. 남북 8㎞, 동서 4㎞의 크기이며 완만한

동남산과골이 깊고 가파른 서남산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40여 계곡이 있고, 동쪽에는 낭산.

명활산.서쪽에는 선도산.벼도산.·옥녀봉,북쪽에는 금강산.금학산이솟아 있다.

뿐만 아니라토함산() 줄기가 동해를 막는 성벽 구실을 하고 있어 남산은 옛 서라벌을 지키는 요새로서 훌륭한 역할을 하였다.

2013년11월17일(금)

 

 

 

 

 

 

 

 

 

 

 

 

 

 

 

 

 

 

 

배리삼존불 - 삼릉 - 냉골석조여래좌상 - 마애관음보살입상 - 선각육존불 - 마애여래좌상 - 석조여래좌상 -

선각마애여래상 - 상선암선각보살상 - 상선암마애대좌불 - 금송정터와 바둑바위 - 상사바위와소석불 -

금오산정상 - 대연화대(삼화령) - 탑기단석 - 용장사지삼층석탑 - 마애여래좌상 - 삼륜대좌불 - 용장사터 -

탑재와 석등대석 - 용장계 절골 석조약사여래좌상

           

   

  산사의 아침(탁발승의 새벽노래)

 

 

 

 

 

 

 

 

 

 

┗경주 남산리 남산동 삼층석탑 1963년1월 21일 보물 제124호로 지정되었다.동탑의 높이는 7.04m,

서탑의 높이는 5.55m이다. 형식이 다른 쌍탑이 동서로 대립해   있어 불국사의 동서 쌍탑을 연상케 한다.

동탑은 일종의 벽돌석탑[]을 모방한 것으로,커다란 2중 지대석()위에 8개의 돌덩이로 직육면체의 단층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3단의 네모난 굄을 마련하여 3층의 탑신부를 받치도록 하였다.옥신()과 옥개석()들이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조각이 없다.옥신과 옥개석은 올라갈수록 작아지고,옥개석의 받침은 초층부터 5단, 5단, 4단으로 되어 있다.

서탑은 일반형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운 3층탑이다.하대석()과 하층 기단 면석()을

1장의 돌로 만들어 모두 4장으로 구성하고, 3층기단 면석에는 각면 2주의 탱주()를 표시하여   구분하고,

그 안에 팔부신중()을 1구씩 양각하여 특이한 수법을 보여준다.

 

 

 

 

 

 

 

 

 

 

 

 

 

 

 

 

 

 

 

 

 

 

 

 

 

 

 

 

 

 

 

 

 

 

 

 

 

 

 

 

┗경주 남산 칠불암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像>천의()는 얇아 육체의 굴곡이 살아 있으며, 옷자락은 유려하게 흘러 대좌()를 덮고

   옷주름은 고식()이 아니며 자연스럽게 늘어졌다.발 아래는 화려한 구름이 동적이어서 구름에 떠가는 자유자재한 보살을 묘사하고 있다.

   광배()는 주형거신광(光)나루배와 같은 형태로 온몸을 둘러싼 광배)에 3가닥 선으로 두광()·신광()을 표현하였을 뿐이며,

   광배 자체가 감실()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혼기념일을 앞두고 가족과 함께 완도 참전북 요리전문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