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5

[경주여행]가을명소 운곡서원 은행나무 유연정

[경주여행]가을명소 운곡서원 은행나무 유연정운곡서원은 안동 권씨의 시조인 권행과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권산해.권덕린(군수)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곳이다. 운곡서원 바깥에 유연정이라는 별도의 정자가 있는데 그 앞에 아름드리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400년에 달하는 거대한 은행나무로 나무줄기에서 뻗어 나온 무수한 가지에 샛노란 은행잎이 춤을 춘다.  은행나무와 정자 유연정을 함께 담으면 황홀한 풍광을 남길 수 있다. 좀처럼 볼 수 없는 거대한 은행나무에서 바람과 함께 흩날리는 은행잎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지금 함께하는 사람이 가족이다. 1)장소:경주시 강동면 사라길 79-13 (운곡서원)2)일자:2024년11월22일(금욜)  ●날씨:맑음 3)누구랑:자연을 닮은이(미래)

국내여행 2024.11.22

[밀양여행]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밀양 금시당 백곡재

[밀양여행]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밀양 금시당 백곡재금시당은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한림 옥당각조 낭관, 사간원 헌납 등을 거쳐 좌승지에 올랐던 금시당 이광진의 별업으로 1566년에 세워졌다.이광진이 죽자 아들 경홍이 선친의 뜻을 이어받아 후진을 양성하는 강학소로 사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불에 탔으나 백곡 이지운 복원하였다. 이지운을 추모하기 위하여 경내에 백곡재가 새로 건립되었다. 금시당이 직접 심었다는 수령 440년 된 은행나무도 있다.가을에는 걷자그냥 걷자가끔씩 눈을 감고 걸으면 억새들이 부르는 손짓과가을 색에 자지러지는 새들의 날갯짓에더 가까이 그리운 이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까-가을에는 걷자:오광수-1)장소:밀양시 활성동 582-12)일자:2020년11월22일(일욜)3)날씨:비(흐림)4..

국내여행 2020.11.23

[청도여행]천년고찰 운문사 가을 은행나무

[청도여행]천년고찰 운문사 가을 은행나무배우면서 즐기는 산고수청의 고장 청도호랑이가 웅크려 앉아 보고 있는 듯한천년고찰 운문사 은행나무 아름답고 걷기싶은여행운문사 솔바람길 만추.자연이 살아 숨쉬는 그곳에 우리함께 떠나요.●청도 운문사 은행나무를 개방한다.●2017년11월4일(토욜)~11월5일(일욜) 1년중 11월첫주(토.일)●개방시간:13:00분~16:00분)1)장소: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1789  ●(054-372-8800)2)일자:2017년11월5일(일욜)~4)장비:니콘 DSLR D300 (랜즈:70~300mm)5)누구랑:자연을 닮은이

국내여행 2017.11.05

[청도여행]깊은산속 가을 천년고찰 적천사 은행나무

[청도여행]깊은산속 가을 천년고찰 적천사 은행나무깊은산속 가을의 천년고찰 적천사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나이가 8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25.5m, 둘레 8.7m의 크기로 3m 위치까지 한 줄기이며 그 위부터는 3개의 가지로 나뉘어졌다.맹아 및 유주가 유난히 발달했는데,맹아는 새로 난 싹을 말하며,유주는 가지 사이에 혹 또는 짧고 뭉뚝한 방망이처럼 생긴 가지를 말한다.유주는 일종의 뿌리가 기형적으로 변한..

국내여행 2017.11.05

[경주여행]자연과역사 숨쉬는 왕산리 운곡서원 만추

[경주여행]자연과역사 숨쉬는 왕산리 운곡서원 만추안동권씨(安東權氏)지방유림의 공의로 권행(權幸)1784년(정조 8)에 공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추원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그 뒤 권산해(權山海)와 권덕린(權德麟)을 추가 배향하였으며,운곡서원으로 개편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30년 유허지(遺墟址)에 설단(設壇)하여 향사를 지내왔으며,1976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경덕사(景德祠),신문(神門),5칸의 중정당(中正堂),각 1칸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각 3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외삼문(外三門),6칸의 유연정(悠然亭),주소(厨所)등이 있다.안동권씨(安東權氏) 시조인 고려..

국내여행 201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