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2010년 산행

[얼음골 용아]밀양 얼음골 용아(b)능선 따라서...

미래(mire) 2010. 8. 30. 12:00

☞.얼음골(결빙지)

해발 1189m의 천황산(사자봉) 북쪽 중턱 해발 600m 지점의 얼음골계곡은 삼복(三伏)한더위에 얼음이 얼고

처서(處暑)가 지날 무렵부터 얼음이 녹는 신비한 이상기운온 지대다. 약3.000평쯤 되는 돌밭(石田)에는 해마다 6월중순부터

바위틈새에서 얼음이 얼기시작하여 더위가 심해질수록 어름이 더욱 많아지는데 삼복더위가 한창일때 그 절정에 이르고.

반대로 겨울에는 바위틈에서 얼음대신 더운 김이 오른다는 이계곡을 밀양의 신비라고 불리고 있으며 얼음골 내에

천황사 석불좌상(보물 제1213호)이 잇다..

♡.어디로☞밀양/얼음골용아(B)능선따라서..

♡.어다서☞밀양시/산내면/남명리

♡.산행코스☞얼음골주차장/들머리→구름다리→묘지(안씨)→모지→얼음골용아(B)→능선마루(안부)폭우로 원점으로 하산하다..

           갈림길(사자봉)→샘물상회→폐쇄등산로이정표→얼음골용아(A)→가마볼협곡(폭포)→얼음골(결빙지)→천황사→매표소

♡.언제산행☞2010년8월29일(일욜)

♡.누구랑 ☞바우영원한이불친구둘이서..

 ▲119 얼음골 구름다리

 ▲119 얼음골 구름다리.

 ▲얼음골용아(B) 우쪽으로 가다.

▲얼음골용아(B)능선/들머리 

▲얼음골용아(B)능선의 첫번째 묘지  

얼음골용아(B)능선의 첫번째 묘지을 지나서 초입부터 험란한 알릉을 오르다..

우회도 할수도 있는데...

▲얼음골용아(B)능선에 오르다... 

 ▲얼음골용아(B)능선의 두번째 묘지 

▲얼음골용아(B)능에 오르다..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얼음골 천황사.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백운산 암릉들..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닭벼슬능선..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만난 울산오바우의 리본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용아(A)하산길이 험란하게 보이다..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저 멀리 보이는 얼음골용아(A)능선이 우리가 하산 할 코스다...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언제나 늘 내곁을 지켜주는 영원한 이불친구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백운산  배경으로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비바람이 심하게 모라치고..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비바람이 심하게 불고해서 

얼음골 용아(A)능선은 담에 하기로 하고 우리 일행은 아쉽지만 하산 준비를 하다.. 

 

 

▲얼음골용아(B)능선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폭우로 이곳 바위를  미끄러워서 넘지못하고 우리일행을 하산길에 오르다.. 

 

▲얼음골용아(B)능선에서는 운무가 온 산을 덥고 있는구마...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백운산의 운무..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바라본 ∼∼∼용아(A)능선의 운무..

 ▲얼음골용아(B)능선에서  갑각스럽게 운무가 조망을 흐리게 하다.. 

 

 ▲얼음골용아(B)능선을 무시히 산헹하고 오다..

아쉽지만 부족한것은 담에 또 채우기를로 하고 돌아오다.. 

 

 

 

 

 

 

    ▲매미의일생

    매미는 암수중 숫놈만 울고 암놈은 울지를 않지요.8월 중 암수가 교미를 하게 되면,

    9월에는 암놈이 나무가지 목질부 안에 알을 낳게 되지요.

    목질부 안에서 알이 부화가 되면크기가 2mm 정도가 되는데,이 애벌레는 나무에서 내려와 흙속에 들어가 매미의 종류에 때라

    2∼7년을 애벌래로 생활을 하면서5번 정도의 우화 (허물을 벗는것)를  하게 됩니다.

    이때 애벌레의 먹이는 연한 나무의 뿌리이며 흙속에는 매미의 애벌레를 잡아먹는 천적 (두더지, 지네등) 들이 많아 땅속에 살던

    애벌레들이 천적들에 잡아먹혀 실재로 성충으로 되는 매미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지요.

    매미의 일생을 간추리면  성충 (매미)--- ----애벌래(2~7년,  땅속에서 5번 우화) ---성충 (1~2주 생존)

    이로 본면 매미는 지상에서 1~2주를 생존하기 위해 7 여년 동안을 땅속에서

     천적들의 공격을 피해 천신만고의 애벌레의 생활를 하는 기구한 운명의 생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