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2012년 산행

[고흥여행]거금도 소록대교 소록도탐방

미래(mire) 2012. 3. 12. 01:00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거금대교<소록대교 小鹿大橋>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수탄장 옛 사진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소록대교(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國立小鹿島病院>1916년 5월에 설립된 소록도자혜병원을 전신으로, 1949년 5월 중앙나요양소.,1957년 12월     소록도갱생원, 1960년 7월 1일 국립소록도

병원<國立小鹿島病院>으로 개편되었다.1968년 11월 8일 소록도에 국립나병원을

    신설하면서 산하에 있던 국립익산병원(구 익산소생원)·국립칠곡병원(구 칠곡애생원)국립부평병원(구 부평성혜원) 모두 폐지하였다.

    1977년 부설 간호보조원양성소를 설치하고 1982년 12월 31일 국립소록도병원으로 개칭하였다.보건복지부 소속기관으로, 설립

    당시는 한셈병 환자의 강제 격리·수용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현재는 한센병 환자의 진료·치료를 담당하고 치료 후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보도·후생사업·한센병에 관한 연구를 기본업무로 하고 있다.2001년 현재 약 800여 명의 환자와 200여 명의 의료진이 상주하고

    있으나 환자들은 장애를 가진 70세 이상의 고령자 대부분이며, 의료진 또한 간호사와 조무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섬 전체가

    병동의 일부로,7개 마을에 각각 치료소를 설치하여 의료진이 대기하고 있다.병원은 원장 아래 의료부·서무과·복지과·부설 간호조무사

    양성소로 구성되었다. 의료부에는 내과·외과·피부과·치과·안과·이비인후과·약제과·간호과 등이 있다.서무과·복지과에서는 환자들의 

    후생사업과 치유자의 자활정착을 위한 직업보도·인력관리·재산관리 등을 관장한다.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鹿)있다.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등록문화재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보리피리 시

 

 

 

 

 

고흥 거금도 <소록대교 小鹿大橋> 국립소록도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