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5구간:하늘재~이화령~지름티재)
[조령산:날아가던 새도 쉬어간다던 조령산 조상들의 발자취 따라 걷다.
[이화령:소백산맥의 조령산.조령(鳥嶺:642m)이 중부지방과 영남지방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었지만 고개가 높고 험하여 불편하였다.
[희양산:월악산과 속리산 사이의 백두대간 마루금에 솟은 명산 희양산(曦陽山:998m).지증대사는 이곳을 둘러보고 “산이 병풍처럼 사방에 둘러 봉황의 날개가 구름을 흩은 듯하고, 뿔 없는 용의 허리가 돌을 덮은 것 같다”고 경탄하면서 “하늘이 준 땅이니 승려들의 거처가 되지 못한다면 도적떼 소굴이 될 것이다” 하며 절을 세웠다.그리하여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이 개창하기에 이른 것이다.천년고찰 봉암사 해마다 초파일 단 하루 굳게 닫힌 산문의 빗장 열리다.
1)산행코스(15구간:하늘재~이화령~지름티(37.68km :21시간11분)
●하늘재(1일차)-탄항산-평천재-동암문-마패봉-조령(제3관문)-깃대봉-신성암봉-조령산-이화령(비박)문경시 문경읍 관음리●(17,34km:11시간16분41초)
●이화령(2일차)-조봉-황학산-백화산-평전치-곰틀봉-이만봉-희양산-지름티재-은티마을●(20,34km:9시간54분19초)
2)일자:2016년5월28(토욜)~5월29일비박2일●날씨:맑은여름
3)산행시간:도상거리:37.68km:21시간11분
4)누구랑:자연을 닮은이 백두대간팀(22명)
5)평가:날아가던 새도 쉬어간다던 조령산.조상들의 발자취 따라 암릉구간 이라 체력 고갈되어 힘들었다.
하늘재에서 비박하며 마음도 여유있게 2일차 백화산~희양산 체력도 짱짱하여 힘든일정을 무탈하게 배냥속을 비워 보았노라.
건강하게 행복하게 지리산 천왕봉 종주 그날까지 홧팅하며 나자신을 사랑한다.
[조령산]날아가던 새도 쉬어간다던 조령산 조상들의 발자취 따라 걷다.
[이화령]소백산맥의 조령산(鳥嶺山:1,017m)과 갈미봉(葛味峰:783m) 사이에 있다. 예로부터 조령(鳥嶺:642m)이 중부지방과 영남지방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었지만 고개가 높고 험하여 불편하였다. 일제강점기 때 이러한 불편한 점과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을 말살하기 위하여 조령 바로 밑에 고개를 만들었다. 현재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을 연결하는 3번 국도가 지난다.
주변 지역에서 많이 나는 담배·양잠 등 밭작물의 수송로는 물론 가까이 있는 문경새재도립공원과 수안보온천을 즐기려는 관광객이 많이 이용한다.
'山 백두대간종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8구간:지기재~큰재~추풍령 (0) | 2016.07.17 |
---|---|
[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5구간:하늘재~이화령~지름티재(2일차) (0) | 2016.05.30 |
[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4구간:저수령~차갓재~하늘재) (0) | 2016.04.24 |
[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3구간:고치령~죽령~저수령) (0) | 2016.03.27 |
[백두대간]한반도 산줄기 남진(12구간:도래기재~고치령) (0) | 2016.02.18 |